책발췌 47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카를로 로벨리 “https://hoyony.tistory.com”에서 펌 다음은 뉴턴이 친구 벤틀리에게 보낸 편지다. “무생물인 물체가 비물질적인 다른 어떤 것의 중재 없이 다른 물체에 작용을 가하고, 상호 간의 접촉 없이 다른 물체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상상할 수도 없다. 중력은 물질에 고유하게 내재하는 본질적인 것이다. 물체의 작용과 힘을 전단해줄 다른 어떤 것의 중개 없이도 한 물체가 멀리 떨어져 있는 다른 물체에 진공을 통해서 작용할 수 있다는 것은 내게는 정말 터무니없는 부조리라 생각된다. 철학적인 문제를 다룰 수 있는 충분한 사고력이 있는 사람이라면 아무도 그런 생각을 받아들이지 않을 거라고 나는 믿는다. 중력은 어떤 법칙에 따라 항상 작용하는 동인에 의해 야기되는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이..

책발췌 2023.05.10

꿈과 현실, 타협이 될까요?

꿈과 현실, 타협이 될까요? --프리드리히 니체 답 칸트는 상상력은 '엄청난 집중력과 에너지를 요구하는 일'이라고 말한다. 칸트에게 상상력은 마음속에 잡다하게 떠오르는 여러 생각의 조합으로 조화롭게 구성해 내는 능력이자 힘이다. 창작의 고뇌라는 말이 있다. 꿈을 갖고, 꿈을 꾸고 꿈을 좇는 일도 어렵다. 꿈을 위해 얼마의 노력을 해야 하는지 가늠이 안되고, 실패의 두려움, 남의 평가도 두렵다. 애초부터 허황된 꿈을 꾸고 있었는지 내 판단력 자체가 의심스러울 때가 있다. 현실에 딱 맞추고, 현실의 요구대로 살기도 쉬운 일이 아니다. 사회에서 버티고 살아남는 일은 생각보다 더 어렵고 혹독하다. 건강을 희생하고 바쁘게 산다고 삶이 안정화되지 않는다. 현실에는 구체적인 비교 대상이 많기에 내 부족함이 더 실감난..

책발췌 2023.01.11

나라는 사람의 의미-- 데이비드 흄과 르네 데카르트 대답

에서 발췌 나라는 사람의 의미 나의 의미는 어디에 있을까? 대체가능 인생, 꼭 나여야 하는가? 오늘날 우리가 갖춰야 할 능력은 노동 유연성이다. 언제 대체되더라도 적응하고, 어느 자리라도 대체할 수 있는 인재가 되어야 한다. 대체불가능한 나를 위한 첫 단계 사회 속 나의 역할, 직장에서의 내 역할, 나의 직무 등 '기능적 측면'에서 대체가능하다는 말이다. 난 기능 묶음이 아니다. 대체가능한 특징을 지우고 남는 무엇이 있으면 나라는 사람의 의미 토대가 될 수 있다. 직업 기능, 성취, 그와 유사한 사회적 성취를 소거한다. 학교, 배움, 언어 능력, 운동 능력, 시청각 및 감각 기능, 생각 능력까지 지워야 한다. 남는 게 있는가? 할 수 없어도 의미 있는 나, 흄을 만나다 뭘 할 수 있다 없다라는 능력은 나..

책발췌 2023.01.09

문제없는 내 인생, 문제가 뭘까요?-- 칸트의 해법

허유선 저서 에서 발췌 문제없는 내 인생, 문제가 뭘까요? 행복하다는 의미는 만족한다는 뜻이다. 행복이란 감정적으로 흡족한 기분을 느끼는 것만이 아니라, 내 삶이 적절히 나아가고 있다/잘못되지 않았다는 자기 삶에 대한 가치판단을 포함한다. 역할을 한다는 의미는 그 역에 걸맞게 '해야 하는 것'을 수행한다는 뜻이다. 사회 속에서 어른됨은 나 스스로 평가 외에 가정생활, 직장 생활에서의 의무가 모여 나의 하루하루 삶을 구성한다. 여기서 자기 자신은 없어지는 기분이 든다. 보통의 삶은 결코 만만치 않다. 보통 삶에는 보통의 의무가 함께 하기 때문이며, 그 의무는 나의 몸과 마음과 시간과 기력 등을 요구하기에 보통은 본래 어렵다. 보통 삶 유지하기 위해서는 타인에 대한 의무만이 아니라 늘 돌봄이 필요한 존재에는..

책발췌 2023.01.09

타인과 나, 비교의 중심 잡기-- 프리드리히 헤겔의 해법

허유선 저 에서 발췌 타인과 나, 비교의 중심 잡기 비교를 관둬야 하나 비교가 만악의 근원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 우리는 항상 비교하며 살아간다. 문제는 비교 자체가 아니라 '나를 괴롭게 만드는 비교'이다. 날 좋아할 수가 없어서 내가 남보다 못하다고 느껴지고 자신감을 잃는다. 내가 부족한 사람처럼 느껴지며 나 자신을 좋아하기가 힘들게 된다. 헤겔, 난 본래 비교를 통해 만들어진다 '나'라는 사람은 애초에 남과 비교를 통해 만들어진다고 헤겔은 주장한다. 비교는 나 자신을 만들고 꾸려가는데 필요한 양분이다. 그는 세계, 개인, 역사 발전의 원동력은 자유라고 했다. 자유로운 삶은 어떻게 가능한가? 우리가 스스로에 대해 생각하고 알게 되는 일은 타인과의 비교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나는 이런 사람'이라고 나..

책발췌 2023.01.09

세상 속에서 나를 잃어가는 기분, 어떻게 해야 할까요?-- 에리히 프롬의 해법

저자: 허유선 에서 빌췌 세상 속에서 나를 잃어가는 기분,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에리히 프롬의 해법 에리히 프롬은 외로움이 우리 삶의 필수요소라고 말한다. '실존적 고독' 이란 내 인생은 오직 나만의 것이라는 뜻에서 우리는 철저히 혼자인 삶을 산다는 의미다. 내 인생은 나만의 것이라서 외로울 뿐만 아니라 너무 막연해서 외롭다. 막연해서 불안하고 불안해서 외로워지는 것이다. 자유롭다는 말은 불확실하고 안정적이지 않다. 프롬은 인간 삶의 특징을 태어나면서부터 불확실과 불안정의 세계로 '쫓겨 나는' 일이라고 한다. 프롬은 그 '막연한 가운데 혼자인 듯한 느낌'이 핵심이라고 한다. 내가 누군가와 어딘가와 연결 돼 있다는 감각을 통해 그저 혼자만은 아니라는 느낌을 느낄 수 있다면 막연함이 줄어든다고 프롬은 ..

책발췌 2023.01.09

에픽테토스처럼 역경에 대처하는 법

에픽테토스처럼 역경에 대처하는 법 에릭 와이너의 책 에서 스토아학파의 모토는 “자연에 순응하는 삶을 살라”라는 것이다. 소로의 저항 정신은 10대의 마음을 끈다. 니체의 불꽃같은 아포리즘(aphorism, 경구)은 젊은이를 끌어들인다. 자유를 강조하는 실존주의는 중년의 마음을 사로잡는다.. 스토아철학은 나이 든 사람의 철학이다, 프랭클린 루스벨트는 ‘우리가 두려워해야 할 유일한 것은 바로 두려움 그 자체’라는 스토아 사상의 정수를 드러내는 말을 남겼으며, 빌 클맅턴은 마르쿠스의 을 지혜가 가득한 작품으로 여겼다. 베를린 지혜 프로젝트는 지혜를 규정하는 다섯 가지 기준을 제시했다. 1. 사실적 지식 2. 절차적 지식 5. 인생에 전체에 걸친 맥락주의 6. 불확실성을 관리하는 능력 – 인공지능도 해결 못하고..

책발췌 2023.01.07

부의 비밀

서명 : 부의 비밀 (The Science of Getting Rich) 저자 : 월리스 와틀스 1. 부자가 될 권리 --인간이 몸과 마음을 계발하려면 물질을 활용해야 한다. (가) 살아갈 권리가 있다는 말은 곧 부자가 될 권리가 있다는 뜻이다. - 살아갈 권리가 있다는 말은 인간에게 몸과 마음과 영혼이 성장하는데 필요한 모든 걸 뜻대로 사용할 권리가 있다는 의미기에 곧 부자가 될 권리가 있다는 뜻이다. (나) 청빈 즉 정직하나 가난한 생활에 만족하는 건 타당한 일인가? - 사물을 이용해 재능을 최대한으로 계발하고 영혼을 일깨우려면 반드시 돈이 있어야 한다. (다) 온전한 삶이란 무엇인가? - 사람은 더 나은 존재가 되고 싶다는 마음이 있다. 성공이란 자신이 되고 싶은 사람이 된 상태를 말한다. 온전한 ..

책발췌 2022.04.01

하버드 상위 1퍼센트의 비밀--신호를 차단하고 깊이 몰입하라.

아래에서 펌 https://blog.naver.com/mjmedia2010/221997223014 이 책의 저자는 다양한 사례와 연구 내용을 근거로 들며, 부정적 신호에 대한 차단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부분의 평범한 사람들은 성장하면서 본인을 특별하게 만드는 신호보다는 그저 계속 평범하게 살도록 유도하는 신호를 받게 된다. 평범한 신호를 받는 학생들은 아무도 “내가 똑똑하니까”라고 말하지 않는다. 반대로 “나는 평범하니까”라고 말하는 데 익숙해지는 것이다. 주변의 신호가 1등의 신호가 아니라면 이제 우리는 그 신호부터 차단해야 한다. 그리고 부정적인 신호를 차단한 뒤엔 자신의 분야에 대한 깊은 몰입이 요구된다. 차단과 깊은 이해가 가져다주는 빛 또는 힘. 다시 말해, 블랙 다이아몬드 (Black Dia..

책발췌 2021.10.01